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펌> 우리나라의 중산층 기준

by 라방드 2013. 3. 18.

 

(미사봉에서 자료를 펌)

 

<중산층 기준>

아래는 선진국에서 생각하는 산층 조건입니다.

 

[영국] 옥스포드대에서 제시한 중산층 기준

1. 모든 경쟁에는 페어풀레이 정신을 살릴 것

2. 독선적으로 행동하지 말 것

3. 자기의 주장과 신념을 가질 것

4. 약자를 두둔하고 강자에 대항할 것

5. 불의와 불평 불법에 대하여 의연히 대처할 것

 

[미국]  공립학교에서 가르치는 중산층의 기준

1. 자신의 주장이 떳떳할 것

2. 사회적 약자를 돕는 정신이 투철해야 할 것

3. 부정과 불법에 저항할 것

4. 월간비평지 하나 정도는 자기책상 위에 놓여 있어야 한다.

5. 미국인이라는 자부심과 긍지를 가질 것

 

[프랑스] 퐁피두 대통령이 'Qualite de vie'에서 정한 기준

1. 외국어 하나 정도는 할 수 있어야

2. 즐기는 스포츠 하나 정도는 필수

3. 악기 하나 정도는 자유로이 다룰 줄 알아야

4. 자기만의 독특한 맛을 내는 요리솜씨를 갖출 것

5. 공분에 의연히 참여하고 약자를 배려하고 봉사활동을 꾸준히 해야한다.

 

[대한민국]

1. 부채 없는 30평이상 아파트 한 채는 기본

2. 월 500만원 이상 수입이 있어야 하고

3. 2000 CC 이상 자가용도 기본

4. 예금잔고는 평균 1억 이상이어야 하고

5. 연 1회이상 해외여행을 갈 수 있어야 한다.

 

대한민국은 처음부터 돈돈돈돈 돈타령입니다.

 

 조선시대에 중산층의 조건은

1. 두어칸 집에, 두어이랑 전답이 있고, 겨울솜옷과 여름베옷이 각 두어 벌 있을 것

2. 서적 한 시렁, 거문고 한 벌 , 햇빛 찔 마루 하나, 차 다릴 화로 하나,늙은 몸 부축할 지팡이 하나, 봄 경치 찾아다닐 나귀 한 마리

3. 의리를 지키고, 도의를 어기지 않으며, 나라의 어려운 일에 바른말 하고 사는 것

......이었다고 합니다.

 

이쯤 되면, 예전에는 우리나라도 프랑스와 견줄 만하지 않은가요? 오늘날 우리가 생각하는 우리들의 중산층 기준이란 것은 우리 선조나 선진국에 비하면 초라하기 그지없습니다. 

그러나 변변한 자원도 없이 세계 무역강국으로 발돋움한 우리나라, 한강의 기적을 이룬 우리나라, 민주주의를 우리 스스로 만들어낸 우리나라입니다.

뭔들 못 하겠습니까? 뭔들 안 되겠습니까? 우리가 이렇게 자성하는 분위기인데 말입니다.